안녕하세요, 유익한 강의 언제나 잘 듣고 있습니다 :)
복습을 하다가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.
1. 63 페이지: 그림 [2-25]의 방향그래프에 대한 설명을 보고 있었는데,
E(G₂) = {<1, 2>, <3, 1>, <3, 2>, <3, 4>, <4, 1>, <4, 2>}
이 설명 부분의 <1, 2>, <3, 1>는 그림에 따르면 <2, 1>과 <1, 3>이 되어야하지 않을까, 생각이 들었습니다.
2. 69 페이지: 단원 요약의 "8. 트리" 부분에서,
포화 이진트리의 설명에 깊이가 k인 이진트리가 가질 수 있는 최대 노드의 개수가 (2k -1)을 가진 이진트리 라고 나와있는데
완전 이진트리의 설명이 총 노드의 개수가 (2k+1 -1)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포화 이진트리의 번호와 일치하는 이진트리 라고 나와있습니다.
61 페이지를 보면 포화 이진트리 설명의 k는 깊이인 반면, 완전 이진트리의 k는 트리의 최대 레벨(이 경우 깊이: k+1)이기 때문에 "총 노드의 개수가 (2k+1 -1)을 초과하지 않으면서"가 이해가 가지만 69페이지 요약 부분엔 k에 대한 부분이 따로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조금 잘못 읽힐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..
(제곱 부분의 표현이 미숙해서 죄송합니다ㅠㅠ)
3. 70 페이지: 1번 문제의 2번 선택지 "비단말 노드의 수는 모두 7이다." 이 부분은 6인 것 같습니다.
58 페이지의 비단말 노드 또는 내부 노드의 정의에 따르면 비단말 노드는 루트 노드와 단말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인데,
연습문제 1번의 트리는 총 14개의 노드를 가지고 있고 단말 노드가 7개니까 루트 노드를 제외하면 6이 되어야할 것 같습니다.
(옳바르지 않은 선택지로 이미 4번이 있기 때문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.)
읽어주셔서 감사하고 행복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:)